분산원장의 적용
분산원장을 통해 "데이터 진화에 대해 공유된 컨트롤"이라는 개념이 새로 생겼다.
이 때, "데이터의 공유"와 "데이터 컨트롤의 공유"의 차이점을 알아야한다.
- 데이터의 공유(Shared data) :
분산원장이 없어도 기존 API를 통해 충분히 구현되는 형태 - 데이터 컨트롤의 공유(Shared control of data) :
읽기, 쓰기, 처리의 과정을 다수의 독립 기관이 상호 공동으로 진행하는것으로, 완전한 신뢰를 갖지 못한 기관들이 단일된 공유 데이터에 대한 합의를 가지고 유지하는 것이다.
공통된 데이터를 합의에 의해 처리하기 때문에 독단적으로 입력/변조/삭제가 이루어질 수 없다.
따라서 분산원장을 통해 유효성과 단일성이 성립되게 되는 것이다.
블록체인은 이러한 특성을 가진 분산원장 시스템을 구현하기 위한 하나의 데이터 구조이다.
블록체인 생태계
여러가지 블록체인과 관련된 주체 중 3가지의 주요 프로젝트를 알아보자.
분류 | 하이퍼레저 프로젝트 (Hyperledger Project) |
EEA (Enterprise Ethereum Alliance) |
R3CEV (Crypto, Exchanges and Venture practice) |
소개 | 모든 산업에서 사용 가능한 블록체인 기술의 표준화 및 발전을 위한 오픈소스 커뮤니티 |
이더리움 기반의 허가형 블록체인 컨소시엄 |
글로벌 은행 컨소시엄 결제, 회사채, 보험, 주식, 부동산 등에 블록체인 기술을 적용해 거래 안정성을 강화하는 사업 |
특징 | 비즈니스를 위한 블록체인 | 기업형 이더리움 연합 | 블록체인 기반 해외송금시스템 |
URL | http://www.hyperleder.org | http://entethalliance.org | http://www.r3.com |
하이퍼레저 프로젝트
스마트 계약을 구현할 수 있는 오픈소스 기반 프라이빗 블록체인 프로젝트
- 리눅스 재단에서 2015년에 만들어진 프로젝트
- 분산원장에 대한 산업 표준에 중요 기능을 확인/적용함으로 블록체인의 발전을 도모하는 협력프로젝트
- 오픈소스, 오픈표준, 오픈 *거버넌스 기반
*거버넌스 : 과거의 일방적인 정부 주도적 경향에서 벗어나 정부, 기업, 비정부기구 등 다양한 행위자가 공동의 관심사에 대한 네트워크를 구축하여 문제를 해결하는 새로운 국정운영의 방식
기업형 블록체인을 위한 그린하우스(Greenhouse For Enterprise Blockchains)
하이퍼레저(HyperLedger) 는 6 가지 Framwork와 7 가지의 Tool을 가진, 총 13개의 프로젝트로 구성된다.
- Modular Frameworks
- Burrow, Fabric, Grid, Indy, Iroha, Sawtooth - Modular Tools
- Aries, Caliper, Cello, Composer, Explorer, Quilt, Ursa
하이퍼레저 프레임워크간 비교
종류 | 특성 |
![]() |
하이퍼레저 프로젝트 전체의 핵심이 되는 부분. 모듈러 아키텍쳐를 이용한 어플리케이션/솔루션 개발을 돕는 파운데이션. 컨센서스나 멤버십 서비스 등 핵심 기술 요소들이 plug-and-play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도록 한다. |
![]() |
분산 원장 구축, 디플로이, 실행을 위한 모듈러 플랫폼. Proof of Elapsed Time (PoET)라는 새로운 컨센서스 알고리즘을 도입. 대규모의 validator 노드가 최소한의 자원만을 사용하여 검증/합의할 수 있도록 함. 스타트업에서 주로 사용한다. |
![]() |
모바일 어플리케이션 개발에 초점을 둔 분산 원장 개발 프로젝트. C++ 디자인 기반, Byzantine Falut Tolerant 컨센서스 알고리즘을 이용. |
![]() |
인증에 특화된 프로젝트. 블록체인에 기반한 독립적인 디지털 아이덴티티 레코드 생성 및 사용을 위한 툴, 라이브러리, 재사용 컴포넌트들을 제공. (ex. DID - Decentralized Identifier) 탈중앙화된 아이덴티티가 하이퍼레저 컨소시움 내외에서 문제없이 통용되도록 하기 위한 연구 진행. |
![]() |
Ethereum Virtual Machine에 기반한 스마트 컨트랙트 인터프리터가 빌트인된 블록체인 클라이언트 를 제공. 퍼블릭 블록체인 플랫폼에 프라이빗 블록체인을 더해 구조적으로 상호 보완을 위한 문제에 대해, Burrow는 Hyperledger의 확장성을 끌어올림으로 기대받음. |
참조)
하이퍼렛저 개요와 이해 - (윤석빈Trust Connector) https://www.youtube.com/watch?v=lfjps32xJa0
하이퍼레저의 구조도 - (야옹메롱) https://m.blog.naver.com/mage7th/221493540794
'기술 단어장 > Blockchain' 카테고리의 다른 글
[블록체인] Ubuntu용 Indy SDK 빌드 과정 분석 (0) | 2021.08.11 |
---|---|
[블록체인] Hyperledger Indy node-pool 분석하기 (0) | 2021.08.10 |
[블록체인] DID document는 무엇이고 어떤 내용이 들어갈까? (0) | 2021.08.03 |
[블록체인] 하이퍼레저 인디(Hyperledger indy)플랫폼과 SSI/DID (0) | 2021.07.06 |
[블록체인] DID란 무엇인가? (0) | 2021.07.03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