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기술 단어장/Network9

[AWSKRUG] AWS Network 구조:네트워크 소모임 2025.03.17meetup의 AWS 사용자 그룹에 가입하여처음으로 네트워크 소모임에 참여하였다. AWS의 기본 구성인 리전, AZ와 같은 기초 개념과 활용은 꽤나 해보았으나VPC의 효율적인 구성을 위한 네트워크 개념이 약하다고 생각해 참여했다.     꾸준히 공부해준 나에게 감사하듯NAT, Subnet, Internet Gateway의 개념적 정의는 알고 있었다.이번 강의로 사소하지만 몰랐다면 엮이기 힘든 지식들이 엮일 수 있었고이들의 상호작용이 처음으로 명확히 엮어졌을 때의 그 쾌감이 아직 잊히지 않는다.  이후 개인적으로 VPN이라던가 리버시 프록시도네트워크의 아랫단으로 내려가 더 이해할 수 있지 않을까??라는 생각이 들어 차근차근 정리해 엮어 보았다.다 그리고 설명하면서 아 나 이부분 모르는구나.. 2025. 3. 25.
[X Server] NoSuchDisplayException 해결을 위한 X Server 설정 오늘도 평화롭게 환경 설정을 마치고 코드를 돌리니,기대도 하지 않았지만 오류가 발생하였다. pyglet.display.xlib.NoSuchDisplayException: Cannot connect to "None"# python main.pycreating the FLAME Decodertorch.Size([8, 5023, 3]) torch.Size([8, 68, 3])Traceback (most recent call last): File "main.py", line 89, in pyrender.Viewer(scene, use_raymond_lighting=True) File "/home/azureuser/anaconda3/envs/FLAME_PyTorch/lib/python3.8/site-p.. 2025. 1. 17.
[NAVIX] 고정 IP 설정 및 SSH 서버 활성화 최근 NAVIX 리눅스를 노트북에 설치했다~!~!현생과 함께 놀이하듯 해당 환경을 써보고자하니,자유로운 윈도우와의 환경 공유를 위해SSH 연결을 통해 NAVIX 노트북에 접근하여 사용하고자 했당.이를 위해서 NAVIX 쪽에 고정 IP를 설정하고SSH 서버를 활성화하여 다른 기기에서 접속하는 과정을 진행해보았습니담~~~   1. 네트워크 상태 확인먼저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이름과 현재 IP 설정 정보를 확인하였슴니다!ip addr show무선 네트워크의 인터페이스 이름이 wlp3s0임이 파악가능했습니다.  2. 기존 네트워크 연결 정보 확인현재 활성화된 네트워크 및 저장된 연결 목록을 확인하고 본인이 쓸 네트워크가 존재하는 지 확인합니다.nmcli connection show저는 U+NetB9E8_5G와 U.. 2024. 12. 30.
[가상화] 가상화와 가상화의 종류 가상화 : 물리적 컴퓨팅 자원들을 논리적 자원으로 변환시켜 추상화 화는 것 - 여러 운영체제를 하나의 물리 머신에서 동시에 실행 가능하다. - 가상화를 하는 대상에 따라 다양하게 분류 될 수 있다. + 레드햇의 설명 : https://www.redhat.com/ko/topics/virtualization/what-is-virtualization 가상화의 종류 가상화의 종류 : 호스트 OS 가상화 : 호스트 OS의 위에 VMM을 설치해 Gest OS를 동작시키는 것 - 구성 형태 > 호스트 OS : H/W에 직접 동작하는 OS > VMM : 가상 머신 생성/관리 및 거버넌스 지원 - 장점 : 완전한 운영체제와 어플리케이션을 실행가능해 높은 호환성 - 단점 : H/W 자원 접근을 호스트 OS를 통하기 때문에.. 2023. 6. 17.
[통신이론] 서블릿(Servlet)의 역할, 특징 서블릿(Servlet) : 자바 기반 서버 사이드 웹 애플리케이션 개발을 위한 자바 클래스 - 서블릿의 역할 HTTP 요청 처리 - 클라이언트에게 HTTP 요청을 받아 처리 - 데이터 추출 및 처리 동적 컨텐츠 생성 클라이언트에게 동적으로 생성된 HTML, XML, JSON 등의 컨텐츠 반환 세션 관리 클라이언트와의 세션 관리 및 상태정보 유지 DB 접근 DB와 연동하여 검색, 수정, 저장 가능 - 서블릿의 특징 동적 처리 클라이언트의 요청에 동적으로 응답을 생성 ex) DB정보 조회, 계산 결과 HTML, JSON 플랫폼 독립성 자바 기반이라 플랫폼(OS) 제약이 적음 생명 주기 관리 서블릿 컨테이너로 관리되는 생명주기 존재 초기화(init), 처리(service), 파괴(destroy) 다중 스레드 .. 2023. 5. 31.
[모니터링] 로그(Log)와 메트릭(Metric) 일반적으로 모니터링과 디버깅을 위해 로그(Log)와 메트릭(Metric)을 사용한다. 간단하게 이 둘의 개념 차이를 짚고 넘어간다. 메트릭(Metric) 정의 : 시스템이나 애플리케이션의 상태, 동작, 성능 등을 측정하고 모니터링하기 위해 사용되는 측정 지표 표현법 : 시계열 데이터로 기록되며, 메트릭은 일련의 숫자 값으로 표현된다. 사용 목적 : 1) 시스템 또는 애플리케이션의 상태를 시간에 따른 변화를 추적 2) 운영 및 모니터링 도구를 사용하여 시스템의 효율성과 안정성 평가 3) 성능 문제 감지 4) 성능 모니터링 5) 용량 계획 6) 경고 및 알림 설정 모니터링 도구 : Prometheus, Grafana, Datadog, ELK Stack, New Relic 등 예시 : CPU 사용률, 메모리 .. 2023. 5. 23.
연도별 컴퓨터 장치간 응답 지연 값 (1990-2020) 연산 값에 대해서는 아래 링크를 참조하고 있다. Numbers Every Programmer Should Know By Year colin-scott.github.io 해당사이트에서 각 연도별로 데이터를 시각화 하였는데, 정렬이 되어있지 않다. 아래에 2020년도 기준의 응답 지연값을 그래프와 표로 나타내었다. L1 캐시 참조 1ns 분기 예측 오류 3ns L2 캐시 참조 4ns 뮤텍스 잠금/해제 17ns 상용 네트워크에서 2KB 전송 44ns 주 메모리 참조 100ns Zippy로 1KB 압축 2,000 ns ≈ 2μs 메모리 순차적으로 1MB 읽기 3,000 ns ≈ 3μs SSD 임의 위치 데이터 읽기 16,000 ns ≈ 16μs SSD 순차적으로 1MB 읽기 49,000 ns ≈ 49μs 동일 .. 2023. 5. 18.
CDN과 무상태(stateless) 웹계층의 도입 구조 도서 "가상 면접 사례로 배우는 대규모 시스템 설계 기초" 를 읽은 후 작성한 내용입니다. CDN(Content Delivery Network)이란? - 정의 : 정적 콘텐츠 전송을 위한 지리적으로 분산된 서버 네트워크 - 접근 과정 1) 클라이언트가 이미지 URL을 통해 img.png에 접근 2) CDN 서버의 캐시에 해당 이미지 존재 여부 확인 3) 이미지가 존재하지 않는다면, 원본 서버에서 이미지 파일 요청 4) 원본 서버가 CDN 서버에 파일 반환 5) CDN 서버는 파일을 캐시 6) 파일을 사용자에게 반환 => 이후 동일 파일 요청 시 캐시를 통해 처리 * 정적 콘텐츠? : 이미지, 영상, CSS 파일 등등 * URL 제공 : Cloudfront, Akamai 등 * 4) 과정에 파일의 캐시 기.. 2023. 5. 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