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기술 단어장/AI7

[Research] 나의 실감형 3D 얼굴 생성을 위한 연구 방향 마지막일 줄 알았던 KETI 스터디가 또 돌아왔따이번 주 주제는 생성 Mesh에 대한 제어이다. 기존 기법기존 Gaussian Head Avatar의 경우에는초기 단계에서는 인물의 기본 구조를 나타내는 중간 저해상도 Mesh(geometry)를 생성한다.이 과정은 3DMM(3D Morphable Model) 기반의 얼굴 파라미터 추정을 활용하거나,기존의 Mesh Reconstruction 알고리즘(예: Poisson Surface Reconstruction)으로 구현될 수 있다.   이를 기반으로 생성된 저해상도 Mesh 위에 Gaussian representation을 적용한다.여기서 Gaussian 분포는 각 vertex 혹은 특정 지역에 대해 커널 함수를 적용하여세밀한 디테일(예, 주름, 미세한 표.. 2025. 1. 16.
[AI] 3D 얼굴 생성을 위한 Deep3DFaceRecon_pytorch 구동 및 분석 굉장히 독창적인 결과물을 보여주었던3D-GANTex 구동 이후 대안을 찾기위해가장 유명한 Deep3DFaceReconstruction을 구동해보았다.  그 중 Deep3DFaceRecon_pytorch는Microsoft의 Deep3DFaceReconstruction의 비공식 구현체이다.원래의 TensorFlow 구현을 PyTorch로 변환한 버전이다.   나의 고초가 담긴 구현 코드 정리본 [Research] Deep3DFaceRecon_pytorch 구동 및 분석 · Issue #22 · oMFDOo/OpenSourceIssueDeep3DFaceRecon_pytorch 구동 및 분석 : 심층 학습 기반 3D 얼굴 재구성을 수행. 단일 이미지 입력만으로 고품질 3D 얼굴 메쉬와 텍스처를 생성 주요 특징 .. 2025. 1. 10.
[AI] 3D 얼굴 생성을 위한 3D-GANTex 실행 과정 오늘은 3D-GANTex를 통해단일 이미지를 기반으로 3D Face Mesh 및 텍스처를 생성해보았다.그 과정 중 발생한 이슈와 해결 과정과전반적인 이론적 구성과 코드 흐름을 정리한 글이다. 원본 코드https://github.com/rohit7044/3D-GANTex GitHub - rohit7044/3D-GANTex: 3DGANTex: 3D Face Reconstruction with StyleGAN3-based Texture Synthesis from Multi-View Images3DGANTex: 3D Face Reconstruction with StyleGAN3-based Texture Synthesis from Multi-View Images - rohit7044/3D-GANTexgithub... 2025. 1. 8.
[AI] 3D 얼굴 생성을 위한 Gaussian Head Avatar 코드 환경 설정 및 실행 조금은 고생을 했던 실행 과정을 소개한다. Gaussian Head Avatar는CNN이 가진 고해상도의 문제 극복의 대안중 하나인Gaussian splatting을 이용한 얼굴 생성 기법을 적용한 코드이다. https://github.com/YuelangX/Gaussian-Head-Avata 위의 공식 코드를 직접 실행하는 과정만을 이번에는 작성하고자 한다. 관련 고충은 이곳에서 구체적으로 서술하고 있다.또한 한글 주석을 내 맘대로 잔뜩잔뜩 추가해자주 설정을 까먹는 나에게 많은 도움을 주고 있다.  1) 코드 주석이 필요한 이에게https://github.com/oMFDOo/Gaussian-Head-Avatar 2) 관련 고충들이 궁금한 이에게https://github.com/users/oMFDOo/p.. 2024. 12. 9.
[NeRF] 3D 생성을 위한 동향 학습 2주 간격으로 KETI 기관의 도움을 받아조언 및 제언을 받을 수 있게 되었다.1차 만남(24.10.02) 당시의 조사 내용을 남긴다. KETI.pdf drive.google.com 2024. 11. 5.
[프로젝트 학습일지] 22.08.01- loss 표현하기 ( KeyError: 'acc' , KeyError: 'accuracy' ) 다음과 같이 간단히 출력만이라도 하고 싶었다.print("loss", hist.history["loss"])print("acc", hist.history["acc"])print(hist.history["val_loss"])print(hist.history["val_acc"])  다음과 같은 에러가 났다.KeyError: 'acc'  인터넷에서는 acc를 accuracy로 변경하라고 하였다.하지만 나는...KeyError: 'accuracy'  해결! 답은 이곳에 있었다.https://github.com/keras-team/keras/releases/tag/2.3.0 Release Keras 2.3.0 · keras-team/kerasKeras 2.3.0 is the first release of mult.. 2022. 8. 1.
[프로젝트 학습일지] 22.07.04 - 퍼지이론은 뭘까? 퍼지이론 : 인간의 애매함을 컴퓨터로 처리하자퍼지 집합과 일반 집합퍼지 이론에서 영역X에 속한 퍼지 집합 A는 함수 : μA(x)==> 집합A에 대한 소속 함수 일반집합(Crisp Set) : 소속함수 값이 소속된 경우 1, 소속되지 않으면 0퍼지집합(Fuzzy Set) : 소속함수 값이 소속도로 0~1의 사이값을 가짐퍼지 추론일반 추론 : 삼단 논법과 같이 진위 판정을 위한 이진추론 => 현실 적용 어렵맘다니 추론 : 위 범위를 고려한 추론이 가능한 기술퍼지 추론 : 이진 추론의 긍정식을 다음과 같이 확장((p -> q) & p') -> q', (p에 가까우면 q에 가깝다)퍼지 규칙 : p -> q조금더 애매한 P, ex. 비가 쫌 오면p, q : 퍼지 집합, 애매한 집합p’ : 현실 관측값 or 퍼지.. 2022. 7.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