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NAVIX 리눅스를 노트북에 설치했다~!~!
현생과 함께 놀이하듯 해당 환경을 써보고자하니,
자유로운 윈도우와의 환경 공유를 위해
SSH 연결을 통해 NAVIX 노트북에 접근하여 사용하고자 했당.
이를 위해서 NAVIX 쪽에 고정 IP를 설정하고
SSH 서버를 활성화하여 다른 기기에서 접속하는 과정을 진행해보았습니담~~~
1. 네트워크 상태 확인
먼저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이름과 현재 IP 설정 정보를 확인하였슴니다!
ip addr show
무선 네트워크의 인터페이스 이름이 wlp3s0
임이 파악가능했습니다.
2. 기존 네트워크 연결 정보 확인
현재 활성화된 네트워크 및 저장된 연결 목록을 확인하고 본인이 쓸 네트워크가 존재하는 지 확인합니다.
nmcli connection show
저는 U+NetB9E8_5G
와 U+NetB9E8
라는 두 개의 Wi-Fi 네트워크가 존재했는데,
시도해본결과 5G는 지원하지 않아 기본 2.4G연결을 이용하였습니다.
3. 고정 IP 설정
실질적인 고정 IP 설정 과정입니다.
nmcli connection modify "U+NetB9E8_5G" ipv4.addresses 192.168.219.150/24 ipv4.gateway 192.168.219.1 ipv4.dns "8.8.8.8,8.8.4.4" ipv4.method manual
nmcli connection up "U+NetB9E8_5G"
문제상황:
- 설정 후 Wi-Fi가 재연결되지 않아
nmcli device wifi rescan
과nmcli device wifi list
를 실행해 네트워크 상태를 다시 확인 nmcli device wifi connect "U+NetB9E8_5G" password "----"
을 통해 재연결을 시도했으나 IP 설정이 초기화되는 문제 발생
해결:
nmcli connection delete "U+NetB9E8_5G"
로 기존 설정을 삭제하고, U+NetB9E8
네트워크를 수정하여 동일한 고정 IP를 적용했습니다:
nmcli connection modify "U+NetB9E8" ipv4.addresses 192.168.219.150/24 ipv4.gateway 192.168.219.1 ipv4.dns "8.8.8.8,8.8.4.4" ipv4.method manual
nmcli connection up "U+NetB9E8"
깔끔하게 연결 완료
4. SSH 서버 활성화
SSH 서비스 확인 및 설치:
sudo systemctl status ssh
sudo yum install openssh-server
SSH 서비스 시작 및 활성화:
sudo systemctl start ssh
sudo systemctl enable ssh
SSH 서버가 정상적으로 활성화되었고, 다른 장치에서 해당 노트북으로 SSH 접속이 가능해졌습니다.
5. 최종 확인
ip addr show wlp3s0
nmcli connection show --active
wlp3s0
에 192.168.219.150의 고정 IP가 성공적으로 할당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으며,
SSH 클라이언트를 사용해 원격 접속이 문제없이 작동함을 테스트했습니다!
이후 목표
현재는 같은 공유기를 쓰는 기기에서만 연결이 가능하지만 외부 접근은 불가능하다.
또한 유동 IP이기 때문에, 고정 IP 하나를 구매해오거나 DDNS 서비스에 돈을 지불하던가 해야한다.
하지만 다행히도 iptime에서는 DDNS를 공유기에서 자체 지원을한다.
그렇기에 다음번에는 개인적으로 가지고 있는 iptime 공유기를 U+ 공유기에 랜선으로 연결한 뒤에
DDNS 설정을 해보아 외부접근을 시도해보고자 한다.
'기술 단어장 > Network' 카테고리의 다른 글
[AWSKRUG] AWS Network 구조:네트워크 소모임 (0) | 2025.03.25 |
---|---|
[X Server] NoSuchDisplayException 해결을 위한 X Server 설정 (1) | 2025.01.17 |
[가상화] 가상화와 가상화의 종류 (1) | 2023.06.17 |
[통신이론] 서블릿(Servlet)의 역할, 특징 (0) | 2023.05.31 |
[모니터링] 로그(Log)와 메트릭(Metric) (0) | 2023.05.23 |
댓글